분류 전체보기(206)
-
[004] 플러터 (Flutter) 배우기 - Stack (겹쳐 쌓기)
안녕하세요~ totally 개발자입니다. Stack Widget 오늘 배울 부분은 바로 Stack입니다. Stack Widget은 다양한 component들을 겹쳐서 쌓을 수 있게 도와주는 위젯으로 주어진 공간에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중첩할 때 사용합니다. 먼저 기본적인 Stack의 사용법은 Stack안에는 여러가지 component들을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배열 형태의 [] 대괄호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위 이미지를 보면, 34번째 줄에 height 속성을 부여하고, 36번째 줄에 alignment 속성을 이용하여 가운데 배치한 모습입니다. 이렇게 Stack은 기본적으로 정렬 속성도 제공하여 개발자가 원하는 위치로 간단히 정렬을 할 수 있습니다. Stack의 응용을 쉽게 표현하기 위해, 4개의 Contai..
2022.10.04 -
[001] 앵귤러 (Angular) - Hello World
안녕하세요~ totally 개발자입니다. 앵귤러(Angular)는 프레임워크로 타입스크립트를 기반으로 모듈 및 Component로 구성이 됩니다. SPA(Single Page Application)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개발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능과 라이브러리가 자체적으로 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같이 차근차근 배워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운로드 및 설치는 다른 포스팅 및 유튜브 강좌에서 많이 소개되어 있으므로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앵귤러 프로젝트를 열면 이렇게 여러가지 directory들이 보입니다. 그 중 src -> app -> app.component.html에 들어가서 모든 내용을 지우고 Hello World을 입력하고 터미널을 열어서 ng serve를 입력해줍니다. l..
2022.10.03 -
[프로그래머스-Level 0] [Javascript] 배열 두 배 만들기
[문제] 각 원소에 2배한 원소를 가진 배열을 return하는 함수 만들기 [알고리즘] 배열의 각 원소에 접근하여 2배 해주기 [풀이] map 함수를 이용한 풀이 function solution(numbers) { return numbers.map(i => i * 2); } map 함수만 알고 있다면 for 반복문 사용 없이 1줄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2022.10.03 -
[프로그래머스-Level 0] [Javascript] 배열의 평균값
[문제] numbers의 원소의 평균값을 return하는 함수를 완성 [알고리즘] numbers의 모든 요소의 합을 구하여 모든 요소의 길이로 나눈다. [풀이] 1. 기본적인 for 반복문으로 sum을 계산하여 나눠주는 방법 function solution(numbers) { let sum = 0; for (let i = 0; i a + b) / numbers.length; }
2022.10.03 -
[003] 플러터 (Flutter) 배우기 - Container, Row, Column (컨테이너, 행렬)
안녕하세요~ Totally 개발자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Container, Row, Column에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합니다. Container 위젯 먼저 Container widget은 HTML의 div 태그 용도처럼 광범위하게 쓰이며 margin, border, padding, child(content)의 속성을 가집니다. 아래처럼 width, height, color 등의 속성도 제공하여 스타일 및 크기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child 속성에 Text 등의 다양한 위젯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Row 위젯 Row 위젯은 한 행에 여러가지 열의 위젯들을 배치할 때 사용하며 children속성에 배열 형태로 위젯들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Row 위젯은 여러가지 속성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그 중 많이 쓰..
2022.10.03 -
[002] 플러터 (Flutter) 배우기 - Scaffold, AppBar, Drawer, Body (기본 뼈대 구성)
안녕하세요~ Totally 개발자입니다. 제가 Flutter(플러터) 프레임워크로 어플을 제작해보면서 핵심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부분들을 중심으로 같이 배워보는 글을 올리니 차근차근 따라해보시면 어렵지 않게 따라오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렇게 기본 틀을 만들어줍니다. StatefulWidget, StatelessWidget 등은 추후에 더 설명을 드리겠지만 여기에서 간단히 설명을 드리면 Stateless Widget은 상태가 변하지 않는 위젯을 제작할 때 쓰이고 Stateful Widget은 몇 번이고 상태가 계속해서 변하는 경우에 쓰입니다. 여기에서는 Stateful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스크립트를 보시면 플러터에서는 기본 Scaffold 위젯을 활용하여 기본 뼈대 구조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