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7] 리액트 (React) 배우기 - List (리스트) + map 활용하기
2023. 2. 25. 14:46ㆍ프론트엔드개발/React
반응형
안녕하세요~ totally 개발자입니다.
List, map
오늘은 리스트 즉 배열과 map을 활용하여 리액트 JSX로 출력해보는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tep 1: Student.js 파일을 만들어줍니다. props를 전달받아 firstName, lastName을 출력할 수 있는 리스트를 만들어줍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Student(props) {
return (
<li>
{props.firstName} {props.lastName}
</li>
)
}
export default Student;
Step 2: StudentComponent.js 파일을 만들고 아래처럼 코드를 작성해줍니다. 제일 중요한 부분은 <ol> 태그 사이에 있는 {students.map 부분이며 이 map을 사용하여 배열의 각 요소를 모두 출력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위의 Student.js에 props를 사용했기 때문에 여기에서 lastName, firstName의 parameter를 명시해주셔야 합니다. 이 map을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이해하셔야 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Student from './Student';
function StudentComponent() {
// 배열 초기화
const students = [
{id: 1, lastName: 'Andrew', firstName: 'Paul'},
{id: 2, lastName: 'Brian', firstName: 'Wilson'},
{id: 3, lastName: 'Catherine', firstName: 'Anna'}
];
return (
<div style={{textAlign:'left'}}>
<h1>Student List</h1>
<ol>
{students.map((student) => <Student key={student.id} lastName={student.lastName} firstName={student.firstName} />)}
</ol>
</div>
)
}
export default StudentComponent;
이 map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const arr = [1,2,3];
arr.map(i => i + 1);
Step 3: App.js에 <StudentComponent />를 추가합니다.
Step 4: npm run start하여 테스트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리액트 라우팅(routing)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프론트엔드개발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9] 리액트 (React) 배우기 - Navbar 만들기 (Link 사용) (0) | 2023.02.28 |
---|---|
[008] 리액트 (React) 배우기 - Router (라우터 사용) (0) | 2023.02.28 |
[006] 리액트 (React) 배우기 - 함수형 컴포넌트 useEffect Hook(훅) 사용, 클래스형 컴포넌트 생명주기 이해 (0) | 2023.02.24 |
[005] 리액트 (React) 배우기 - 함수형 컴포넌트 useState Hook(훅) (상태 업데이트) (0) | 2023.02.23 |
[004] 리액트 (React) 배우기 - 함수형 컴포넌트 Event 사용(버튼 클릭, 폼 제출 이벤트 만들기) (0) | 2023.02.23 |